맨위로가기

모트 절연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트 절연체는 띠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으로, 특정 조건에서 절연체에서 금속으로의 전이 현상을 보인다. 1937년 얀 헨드릭 드 보어와 에버트 베르베이가 전이 금속 산화물이 절연체임을 보고한 후, 네빌 모트와 루돌프 파이얼스가 전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를 설명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모트 절연체는 모트 준거를 통해 금속-절연체 전이의 임계점을 설명하며, 모트성이라는 추가적인 요소를 통해 반강자성 질서 외의 특성을 나타낸다. 모트 전이는 외부 전압, 온도, 압력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스위치, 메모리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 상 - 상자성
    상자성은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는 자성을 띠지 않지만,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자기장 방향으로 약하게 자화되는 성질을 말하며, 짝을 짓지 않은 전자의 스핀으로 인해 영구 자기 모멘트를 가지는 상자성체가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 양자 상 - 영점 에너지
    영점 에너지는 양자역학에서 절대 영도에서도 존재하는 최소 에너지를 의미하는 기본 개념으로, 카시미르 효과, 램 시프트 등 실험적으로 뒷받침되는 현상과 우주론적 함의를 지니지만 물리적 의미와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고체물리학 - 원자가띠
    원자가띠는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밴드 이론의 중요한 개념으로, sp3 혼성 궤도에 의해 형성되며, 스핀-궤도 상호작용 등에 의해 여러 밴드로 나뉜다.
  • 고체물리학 - 전도띠
    전도띠는 고체 내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에너지 범위로, 밴드갭과 관련 있으며, 고체의 전기 전도도는 원자가 띠에서 전도 띠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모트 절연체
모트 절연체
유형강상관계 물질
특징전도대가 차 있지만 절연체로 작동함
밴드 이론으로 설명 불가
관련 현상모트 전이
모트 절연체와 전하 이동 절연체전하 이동 절연체에서 두 개의 원자 사이의 전자 전하 이동에 의해 절연체가 발생함. 모트 절연체에서는, 전자가 한 원자에 머무르는 것과 같은 온사이트 쿨롱 반발로 인해 발생함
예시전이 금속 산화물
니켈 산화물 (예: 산화니켈(II))
구리 산화물
일부 유기 반도체
전도 전자의 국소화전도 전자는 격자의 원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으며, 대신 쿨롱 반발 때문에 특정 원자에 국소화됨.
모트 전이온도 또는 압력과 같은 외부 매개변수를 변화시켜서 절연체에서 금속으로, 또는 금속에서 절연체로의 전이가 유도될 수 있음.
모트 허바드 모델모트 전이에 대한 이론 모델
온사이트 쿨롱 반발과 격자 내의 전자 호핑 사이의 경쟁을 고려함
연구 분야고온 초전도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
강상관계 물질 연구에서 활발히 연구됨
추가 설명
모트 절연체 설명밴드 이론에 따르면 일부 재료는 전도대가 완전히 차 있어서 절연체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전도체인 경우가 있음. 이런 역설은 전자의 상호 작용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밴드 이론의 한계 때문임. 모트 절연체는 전자 간의 강력한 쿨롱 상호작용으로 인해 전도성이 억제되는 특이한 절연체임.

2. 역사

1930년대 얀 헨드릭 드 보어와 에버트 베르베이는 띠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전이 금속 산화물의 절연체 성질을 보고하였다.[2] 네빌 모트와 루돌프 파이얼스는 전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3] 1949년 네빌 모트는 NiO을 예시로 들어 모트 절연체 모델을 제안하였다.[4] 1963년 허바드는 모트 절연체를 설명하는 가장 간단한 이론 중 하나인 허바드 모델을 제시하였다.

3. 모트 준거 (Mott Criterion)

금속-절연체 전이의 임계점을 설명한다. 준거는 다음과 같다.

:n^{-1/3} < C a_0^*,

여기서 ~n은 물질의 전자 밀도이고 a_0^*는 유효 보어 반지름이다. 상수 C는 다양한 추정에 따라 2.0, 2.78, 4.0 또는 4.2이다.

준거가 만족되면(즉, 전자 밀도가 충분히 높으면) 물질은 전도성을 띠게 되고(금속) 그렇지 않으면 절연체가 된다.[8]

4. 모트성 (Mottness)

모트성(Mottness)은 반강자성 질서 외에 모트 절연체를 완전히 설명하는 데 필요한 추가적인 요소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반강자성 질서 + Mottness = 모트 절연체''로 쓸 수 있다.

따라서 Mottness는 단순한 반강자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모트 절연체의 모든 특성을 설명한다.

실험 및 이론적 관찰에서 유도된 모트 절연체의 여러 특성은 반강자성 질서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따라서 Mottness를 구성한다. 이러한 특성은 다음을 포함한다.


  • 모트 스케일에서의 스펙트럼 무게 이동
  • 제1 브릴루앙 영역에서 운동량 공간의 연결된 표면을 따라 단일 입자 그린 함수의 소멸
  • 전자 도핑이 n=0에서 n=2로 갈 때 홀 계수의 ''두 번의'' 부호 변화(띠 절연체는 n=1에서 한 번의 부호 변화만 가짐)
  • 낮은 에너지에서의 전하 2e (여기서 e<0는 전자의 전하임) 보손의 존재
  • 반 채움(n=1)에서 벗어난 의사 갭

5. 모트 전이 (Mott Transition)

모트 전이는 응집물질에서 일어나는 금속-절연체 전이 현상이다. 네빌 프랜시스 모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37년 얀 헨드릭 드 보어(Jan Hendrik de Boer)와 에버트 베르베이(Evert Johannes Willem Verwey)는 전이 금속 산화물 중 띠 이론에 따르면 도체여야 할 많은 물질이 절연체임을 지적했다.[2] 예를 들어, 단위격자 당 전자 수가 홀수이면 원자가띠는 부분적으로만 채워지므로 페르미 준위는 띠 내에 있어 금속이어야 하지만, CoO와 같은 경우 절연체이다.[1]

네빌 모트(Nevill Mott)와 루돌프 파이얼스(Rudolf Peierls)는 1937년에 띠 이론의 실패는 전자 간 상호 작용을 포함하여 설명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3] 1949년 모트는 NiO에 대한 절연체 모델을 제안했는데, 여기서 전도는 다음 공식을 기반으로 한다.[4]

:(Ni2+O2−)2 → Ni3+O2− + Ni1+O2−.

이 경우 전도를 방지하는 에너지 갭의 형성은 3d 전자 사이의 쿨롱 퍼텐셜 ''U''와 이웃 원자 사이의 3d 전자 전달 적분 ''t'' 사이의 경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총 에너지 갭은 다음과 같다.

:''E''gap = ''U'' − 2''zt'',

여기서 ''z''는 최근접 이웃 원자의 수이다.

일반적으로 척력 쿨롱 퍼텐셜 ''U''가 충분히 커서 에너지 갭을 생성하면 모트 절연체가 발생한다. 모트 전이의 물리적 기원은 전자의 쿨롱 반발력과 그들의 국재화 정도(띠 너비) 사이의 상호 작용이다. 운반자 밀도가 너무 높아지면 (예: 도핑으로 인해), 시스템의 에너지는 이전에 전도성이 있던 전자의 국재화(띠 너비 감소)에 의해 낮아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에 의해 띠 간격이 형성된다.[9]

반도체에서 도핑 수준은 모트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 반도체에서 더 높은 도펀트 농도는 시스템의 자유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내부 응력을 생성하며,[10] 이는 이온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감소된 장벽은 도너에서 인접한 도너로의 터널링이나 열 방출에 의한 더 쉬운 전달을 야기한다. 운반자의 수송이 최소 활성화 에너지를 극복하면, 반도체는 모트 전이를 거쳐 금속이 된다.

모트 전이는 일반적으로 1차 상전이이며, 물리적 특성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동반한다. (저차원, 격자 기하학에 따라 약하게 1차, 연속적일 수 있다.)[6]

외부에서 전압을 가하면 모트 절연체를 도체로 만들 수 있다. 이같은 모트 전이를 활용하여 장효과 트랜지스터나 스위치 혹은 기억 소자등을 기존의 방법에 비해 더 작게 만들 수 있다.[23]

5. 1. 모트 전이의 예시

ReNiO3 (Re는 희토류 원소)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이금속 산화물이다.[18] 저온에서는 원자가전자가 Ni 자리에 국소화되어 있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Re의 이온 반지름이 증가하여 결정 구조에 왜곡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Ni 자리에 국소화되어 있던 전자가 파동성을 회복하여 결정 전체에 퍼지고 금속으로 전이한다. Re가 Pr 또는 Nd인 경우, 저온의 절연체 상은 동시에 반강자성을 나타낸다.

TaS₂은 절연체이지만, 주사형 터널링 현미경을 사용하여 모트 절연체임이 확인되었다.[19] TaS₂에서는 원자 배열 구조의 한 주기에 13이라는 홀수 개의 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5d 전이금속 산화물 Sr₂IrO₄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모트 절연체임이 확인되었다.[20][21]

6. 응용

외부에서 전압을 가하면 모트 절연체를 도체로 만들 수 있다. 이같은 모트 전이를 활용하여 장효과 트랜지스터나 스위치 혹은 기억 소자 등을 기존의 방법에 비해 더 작게 만들 수 있다.[23] 모트 절연체는 박막 자성 이종구조 및 고온 초전도체의 강상관 현상 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11][12][13][14]

참조

[1] 서적 Lecture notes on electron correlation and magnetism http://worldcat.org/[...] World Scientific 2008
[2] 논문 Semi-conductors with partially and with completely filled 3''d''-lattice bands
[3] 논문 Discussion of the paper by de Boer and Verwey
[4] 논문 The basis of the electron theory of metal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ansition metals
[5] 논문 Metal-Insulator Transition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68-09-01
[6] 논문 Metal-Insulator Transitions
[7] 논문 Griffiths-like phase close to the Mott transition 2020
[8] 서적 Introduction to Solid State Phys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9] 논문 Theory of mott transition : Applications to transition metal oxides EDP Sciences
[10] 논문 Doping Dependence of Semiconductor-Metal Transition in InP at High Pressures
[11] 논문 How Cooper pairs vanish approaching the Mott insulator in Bi2Sr2CaCu2O8+''δ'' 2008-08-28
[12] 논문 Acoustic plasmons and doping evolution of Mott physics in resonant inelastic x-ray scattering from cuprate superconductors 2008-03-25
[13] 논문 Electronic Structure of Mott Insulators Studied by Inelastic X-ray Scattering https://www.science.[...] 2000-06-09
[14] 논문 Momentum-Resolved Charge Excitations in a Prototype One-Dimensional Mott Insulator 2002-04-16
[15] 특허 Junction mott transi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MTFET) and switch for logic and memory applications
[16] 논문 Correlated Electron Materials and Field Effect Transistors for Logic: A Review 2013-01-01
[17] 논문 A heterojunction modulation-doped Mott transistor 2011-10-18
[18] 논문 RENiO3 Single Crystals (RE = Nd, Sm, Gd, Dy, Y, Ho, Er, Lu) Grown from Molten Salts under 2000 bar of Oxygen Gas Pressure https://doi.org/10.1[...] 2021-07-07
[19] 논문 Mottness versus unit-cell doubling as the driver of the insulating state in 1T-TaS2 https://www.nature.c[...] 2020-05-18
[20] 논문 Novel Jeff = 1/2 Mott State Induced by Relativistic Spin-Orbit Coupling in Sr2IrO4 https://arxiv.org/ab[...] 2008-08-15
[21] 웹사이트 Sr2IrO4の超交換相互作用 http://web.tohoku.ac[...] 2018-09-07
[22] 논문 Character of Holes in LixNi1-xO2
[23] 특허 Junction Mott transi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MTFET) and switch for logic and memory applications https://www.google.c[...]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